▣ Fun Management
1. Fun Management 의 개념
① fun 의 개념
fun은 유머, 장난, 놀이, 재미라는 뜻인데 개인, 가정, 직장에서 사용하기에 따
라 그 의미는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기본적으로 웃음과 즐거움이 있어야 펀(fun)
이라 말할 수 있다. 개인으로는 고정된 일상관념을 타파하고 친금감, 사회성, 창
의력 발달을 위해서, 가정은 표현력 향상과 커뮤니케이션 및 스킨십 향상을 위해,
직장은 긴장을 해소하여 산업재해를 방지하고, 집중력,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펀
경영은 필요하다.
② fun 경영의 개념
펀 경영이란 직원들이 펀 리더십 훈련을 체계적으로 받음으로서 직장 내 활기와
즐거움이 넘치게 하여 회사의 생산성을 높이게 하는 프로그램이다. 외국이나 국내
에서도 펀 경영을 실천하여 성공한 사례가 많이 있다. 특히 미국은 90년 대 초 부터 붐이 일기 시작하여 펀 경영(management by fun)이 유럽, 아시아 까지 확
산 되면서 새로운 경영 트렌드로 인기를 끌고 있다.
③ fun 의 기본요소
진수테리는 fun의 기본 요소를 Funny(재미있게), Unique(독특하게), Nurturing(보살핌)으로 주장 하고 있다.
2. 펀 경영의 효과
* 2005년 삼성경제 연구소에서 631명 CEO를 대상으로 조사한바, 95% 이상이
유머가 풍부한 사람을 채용하고 싶다는 연구 결과를 밝혔다.
* 웃음 훈련을 받게 함으로써 친근감이 증대된다.
* 사회성발달, 창의력, 표현력을 향상, 경직과 고정관념이 없어진다.
* 직장의 분위기를 활성화 시키는 경영전략이다.
* 캐나다 캐트린 펜웍의 연구에서 웃음은 사기를 높여주고, 직원에게 15% 사기
향상을 시키면 40% 생산성이 높아진다.
3. 국내외 펀 경영(Fun Management) 사례
* LG경제연구원 - IQ보다 EQ높은 사람이 회사를 채용하고 있다. 90년대 초부터
붐이 일기 시작한 유머 경영(management by fun)이 유럽지역에까지 확산되면
서 새로운 경영 트렌드로 인기가 있다.
* 사우스 웨스트 항공사는 재미있는 기업문화를 통해 급속한 성장을 이루면서 창
의성이 요구되는 21세기형 경영 전락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.
* 뱅크 오브 아메리카는 입사시험 때 응시자에 면접관을 웃겨보라고 요청하고
최근 남을 웃긴 게 언제였는지 등 질문하여 면접에 반영한다.
* IBM은 매년 뉴욕허드슨 강변의 펠러세이드에서 중역 회의 시 존 모리얼이라는
유머 컨설턴트를 기조연설자로 초청하여 펀 경영 마인드를 높이고 있다.
* 여성으로 CNN부사장까지 오른 게일 에반스도 자신의 저서 ‘남자처럼 일하고
여자처럼 승리하라’에서 제시한 14가지 법칙 중 ‘유머감각을 길러라’ 를 강조하
고 있다.
* 유머경영 저자인 미국의 유머경영 전문가 매트 와이버거는 유머 컨설턴트 회사
프레이 페어를 설립하여 AT&T사를 비롯한 대형회사들에게 400여개 유머훈련
프로그램을 개발 하였고, 인간 의사소통을 연구해 온 파울 바출 라비크 박사는
‘유머나 웃음이 만들어내는 역설이나 발상의 전환은 우뇌의 분석적 논리를 중단 시키고 좌뇌의 상상력을 자극 한다’고 주장하면서 ‘분석한 결과 사물은 기존과
는 전혀 다르게 보게 되고 이 과정에서 새로운 생각도 탄생하게 된다’고 밝혔
다.
* 삼성전자 윤종웅부회장, LG전자 김 쌍 수 부회장, 도양제과 담 철 곤 대표이사,
이엘 인터네셔널 김 영 수 사장, 행남자기 노 희 웅 차장, 삼성 애버랜드 박 노
빈 사장, 현대 모비스 박 정 인 회장 두산그룹의 “칭찬합시다.” 등이 국내의
펀 경영자 및 사례들이다. 특히 IMF 위기 직후, 기업 조직의 사기저하를 해결
하는 방법으로 펀 경영 도입이 추진되면서 새로운 기업문화를 창출하는 기반
을 구축하고 있다.
* 펀 경영의 대표적 사례는 아메리칸 항공 (재미있는 비행) 사우스웨스트 항공(배
꼽 잡는 기내방송) 뱅크 오브 아메리카, IBH, 코오롱, 현대 중공업, 오리온,
우리은행, 삼성 에버랜드 등이다.
|